2022 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

2022. 4. 12. 16:24Retail, Consumer Goods Industry


우리나라 이커머스 시장의 구성

1. 롱테일

  • 판매 상품이 무차별 : 마켓플레이스 형태 ~ 네이버(시장점유율 25% 내외), 쿠팡(20% 내외), 지마켓, 이베이, 11번가 등
  • 빠른 배송, 편리한 결제, 저렴한 가격이 경쟁 포인트

2. 그로서리

  • 온라인 식료품 : 진입 장벽 존재 ~ 쓱닷컴, 마켓컬리, 오아시스 등
  • 콜드체인 및 빠른 배송, 판매상품의 물성으로 인한 배송의 까다로움, 구색을 위한 소싱 중요

3. 버티컬

  • 카테고리 킬러 이커머스 플랫폼 ~ 오늘의 집, 무신사, 에이블리, 발란 등
  •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온라인화에 고전하는 틈을 타고 성장, 브랜드 및 상품 셀렉션, 빠른 배송


롱테일 중 네이버 커머스 진출 사업


백화점 vs 브랜드스토어
대형마트 vs 특가
홈쇼핑 vs 라이브커머스
오픈마켓,롱테일 vs 스마트스토어



이커머스 업체들의 물류, 배송 현황

물류센터

- PP센터(오프라인 매장에서 Picking&Packing)
- 네오센터

배송

“신선식품의 새벽배송” 실현한 컬리는 전세계 우수 사례
배송 서비스에 대한 기대는 지속적으로 상향 평준화될 것

물류비

= 주문 처리비(물류센터 내 Picking&Packing) + 포장 부자재비 + 라이트 마일 비용



스마트스토어에 대해서

- 과거에는 소매업 하려면 내가 소싱/제조, 구색, 배송 다 했어야 하는데
  이제는 구색만 내가 해도 되고, 프로세스 별 대행업체가 있다 (사입삼촌들의 역할이 신성마켓이라는 플랫폼으로 구현 )
  예를 들어, 스마트스토어 사례 사진은 셀러가 올리고, 사입/배송은 에이블리가 하는  형태